본문 바로가기

창문을 열고

언론도 서울 서부지법 폭동의 주범이다


2025년 1월 19일 발생한 서울서부지법 난입 폭동 사태는 묵과할 수 없는 민주주의 파괴다. 이는 단순한 폭도들의 일탈이 아닌, 수년간 언론이 극우 세력을 키우고 폭력을 정당화해온 결과물이다.

극우 세력 부화의 온상이 된 언론

한국의 주류 언론은 '중립'이라는 허울 뒤에서 극우 세력의 위험한 언행을 정당화하는 데 앞장섰다. "윤석열 지지자들의 절박한 호소"라며 폭력 위협을 미화했고, 법치 파괴를 선동하는 발언도 '다양한 의견'이라는 이름으로 여과 없이 보도했다. 특히 내란을 마치 한 진영의 의견인 것처럼 여러 차례 토론회를 방송한 것은 언론의 부도덕성의 극치였다. 그리고 보수 성향 언론들은 극우 유튜버들의 폭력적 발언을 그대로 인용 보도하며 확성기 역할을 자처했다.


https://www.pdjournal.com/news/articleView.html?idxno=80569


'균형 보도'의 허상

언론은 폭력 선동과 법치주의 수호라는 명백히 다른 가치를 마치 대등한 '양측의 입장'인 것처럼 보도했다. 판사 살해 위협은 '강한 비판'으로, 법원 습격 예고는 '항의 의사 표명'으로 순화되었다. 이러한 왜곡된 '균형 보도'는 결국 폭력의 정당화로 이어졌다.

클릭수를 위해 민주주의를 팔아넘긴 언론

상업 언론들은 조회수와 광고 수익을 위해 자극적인 극우 콘텐츠를 적극적으로 퍼 날랐다. 일부 언론사들은 극우 세력의 폭력적 발언을 검증 없이 보도하고, 위험한 음모론을 확산시키는 데 일조했다. 심지어 폭력 사태 당일에도 일부 언론은 생중계를 통해 폭도들의 행태를 여과 없이 전파했다.

무능하고 무책임한 팩트체크

언론사들의 팩트체크는 형식적이고 미온적이었다. 극우 세력이 퍼뜨린 허위정보에 대해 즉각적이고 강력한 반박 대신, 뒤늦은 '사실 확인' 기사로 면피성 보도를 하는 데 그쳤다. 이러한 안일한 대응은 가짜뉴스가 확산되는 시간을 벌어주었다.

예견된 참사를 방조한 언론의 직무유기

서부지법 폭동은 갑자기 발생한 것이 아니다. 수개월 전부터 극우 세력의 폭력성이 고조되는 징후가 있었지만, 언론은 이를 심각한 위험으로 다루지 않았다. 오히려 '탄핵 반대 여론'이라는 프레임으로 포장하며 위험성을 희석시켰다.

선동적 보도를 통한 폭력의 암시

가장 충격적인 것은 언론의 노골적인 폭력 선동이었다. 특히 주목할 만한 것은 언론들의 이란 대법원 앞 총격 사건 보도 시점과 방식이다. 한국 법원의 중대 결정을 앞두고 갑자기 끄집어낸 이란의 판사 총격 사건 보도는 우연이라 보기 어렵다.

이는 다음과 같은 측면에서 매우 위험한 보도 행태였다. 첫째, 한국 법원의 중요 결정을 앞둔 시점에 이란의 폭력 사태를 조명한 것은 은근한 위협과 암시로 작용했다. 둘째, 총격 장면과 과정을 상세히 묘사하며 모방 범죄의 가능성을 높였다. 셋째, "한국에서도 가능한 일" 등의 위험한 댓글들을 적극적으로 차단하지 않았다. 넷째, 이란과 한국의 상황을 의도적으로 연결시키려 한 편집 의도가 명백했다.

이는 단순한 해외 뉴스 보도가 아닌, 한국 사법부를 향한 은밀한 위협의 전파였다. 더구나 이 보도 이후 일부 극우 성향 유튜버들은 이란 사건을 반복적으로 언급하며 "한국에서도 일어날 수 있는 일"이라는 식의 위험한 암시를 퍼뜨렸고, 주류 언론은 이를 제대로 된 비판 없이 그대로 인용 보도했다.


결론: 기만적 객관성의 종말과 언론 개혁의 시급성

서부지법 폭동은 한국 언론의 총체적 실패를 보여준다. 그러나 이는 단순한 실수나 무능의 결과가 아니다. '객관성'이라는 가면을 쓰고 위험한 언행을 확산시키고, '균형'이라는 명목으로 폭력을 정당화하며, '취재의 자유'라는 미명 하에 선동적 콘텐츠를 생산해 온 언론의 의도적이고 조직적인 행태가 빚어낸 재앙이다.

특히 우리는 일부 언론이 보여준 '기획된 객관성'의 위험성을 직시해야 한다. 이란 대법원 총격 사건 보도에서 드러났듯, 특정 시점에 특정 사건을 '우연히' 부각하고, 위험한 댓글을 '객관적으로' 전달하며, 극우 세력의 폭력적 발언을 '균형 있게' 다루는 식의 교묘한 선동이 얼마나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지를 목도했다.

이제 우리는 언론에 대한 근본적인 물음을 던져야 한다. 객관성이란 무엇인가? 진정한 균형 보도란 무엇인가? 폭력과 위협을 미화하거나 확산시키는 것이 과연 '취재의 자유'로 정당화될 수 있는가?

민주주의 사회에서 언론의 책무는 단순한 사실 전달이 아니다. 폭력을 경계하고, 법치를 수호하며, 사회의 건전한 담론을 이끌어가는 것이 언론의 존재 이유다. 서부지법 폭동은 이러한 기본적 책무마저 저버린 한국 언론의 민낯을 적나라하게 보여줬다.

더 이상 '기계적 중립'이나 '형식적 균형'이라는 허울 뒤에 숨어서는 안 된다. 우리는 언론이 폭력과 위협에 대해 명확한 태도를 가지고, 진정한 의미의 사회적 책임을 다하도록 강력한 개혁을 요구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서부지법 사태는 한국 민주주의의 종말을 알리는 서곡에 불과할 것이다.